대기는 가스형태로 지구를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대기는 세계 지역마다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로 국제표준대기(ISA)와 같이 평균값이 필요하게 되었다.
PERFORMANCE
THE INTERNATIONAL STANDARD ATMOSPHERE (isa)
STANDARD ATMOSPHERE MODELING
TEMPERATURE Modeling
PRESSURE modeling
DENSITY modeling
Temperature modeling

ISA Temperature
국제 기준은 해수면 기준
기온(Temperature) : 15°C
압력(pressure) : 1013.25 hPa 또는 29.92 in Hg
밀도 : 1.225 kg/m3
Temperature decreases with altitude at a constant rate of -6.5°C/1000m or -1.98°C/1000ft up to the tropopause. The standard tropopause altitude is 11,000 m or 36,089 feet. From the tropopause upward, the temperature remains at a constant value of -56.5°C.
기온 감률 : -6.5°C/1000m 또는 -1.98°C/1000ft ( 단, 대류권 계면까지 적용, 대류권계면 이상 고도에서는 -56.5°C로 일정함)
표준 대류권 계면 고도 : 11,000 m 또는 36,089 ft

신속한 계산 식은 다음과 같다.

중요한 정보로 보이는 내용은 아래 정도!!
기온 감률 : -6.5°C/1000m 또는 -1.98°C/1000ft ( 단, 대류권 계면까지 적용, 대류권계면 이상 고도에서는 -56.5°C로 일정함) 표준 대류권 계면 고도 : 11,000 m 또는 36,089 ft아이파일럿
PRESSURE modeling

ISA Temperature
특정고도에서 표준 압력(P)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이 필요하다.
온도는 고도에 따라 표준값을 갖는다.
공기는 이상기체(Perfect Gas)이다.

위 공식들은 좀 복잡하다.
물론 이상기체 방정식(Perfect Gas Equation)이 비행이론 문제 적용시 필요한 경우가 있으나 비행에 적용할때는 대부분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1 hPa = 28 ft " 비행하면서 필요하면 Rule of Thumb으로 1 hpa = 30 ft 으로 변환해서 계산할 필요가 있다.
특히, QFE를 쓰고 있는 중국에서 비행시 모든 차트의 수치의 사용은 각 항공사별 정책에 따라 QFE 공항에서도 QNH를 쓰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각 항공사의 정책에 따라 차트의 수치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고 특별히 Conversion Table을 각 항공사 별로 발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QFE, QNH의 공항의 표고 또는 비행고도 계산시 조종사가 "1 hPa = 30 ft " 의 Rule of Thumb이 필요할 때가 종종 있다.아이파일럿
Density modeling

Density
위 공식은 간단한 비행이론의 적용에 있어서 가끔 사용하는 방정식이다.
가끔 비행이론 문제를 풀다 보면 "밀도와 압력, 온도의 문제"를 풀 때 이 공식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는 문제들이 종종있다. 그냥 상식으로 기억해 두는 것도 나쁘지 않다.아이파일럿
지금까지 어렵게 보이는 포스트 잘 읽으셨나요?
위 포스트 내용으로 조종사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아래와 같이 QUIZ로 준비했습니다.
한번 풀어보시죠??아이파일럿